목록Github (3)
JJUNNAK's

[ 지난글 ] https://jjunnak.tistory.com/3 [ Github ] 깃허브 push (업로드) 하기. // git 설치, github 계정 만들기 생략. 1. 업로드할 파일 생성 간단하게 텍스트 파일 하나를 올려보겠다. 2. 깃허브 Repositories 생성 자신의 깃허브 계정에 빈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레포지토리 주소 jjunnak.tistory.com https://jjunnak.tistory.com/11 [ Github ] 깃허브 다운로드(clone), 업로드(push) 하기. 지난 글 : https://jjunnak.tistory.com/3 [ Github ] 깃허브 push (업로드) 하기. // git 설치, github 계정 만들기 생략. 1. 업로드할 파일 생성 간단하..

지난 글 : https://jjunnak.tistory.com/3 [ Github ] 깃허브 push (업로드) 하기. // git 설치, github 계정 만들기 생략. 1. 업로드할 파일 생성 간단하게 텍스트 파일 하나를 올려보겠다. 2. 깃허브 Repositories 생성 자신의 깃허브 계정에 빈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레포지토리 주소 jjunnak.tistory.com 이번에는 깃허브에 올라와있는 레포지토리를 내 컴퓨터로 clone하는 법이다. 지난 글에서 올린 레포지토리를 clone 해보려고 한다. 1. 깃허브에서 받은 파일들을 작업할 폴더를 생성한다. 2. 작업할 폴더에서 git bash here 을 통해서 cmd 창을 열어준다 3. 내려받을 깃허브 레포지토리에서 경로를 복사한다. 내려받기 ( ..

// git 설치, github 계정 만들기 생략. 1. 업로드할 파일 생성 간단하게 텍스트 파일 하나를 올려보겠다. 2. 깃허브 Repositories 생성 자신의 깃허브 계정에 빈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레포지토리 주소를 복사한다. 주소는 레포지토리 Code 부분에 나와있다. 3. 명령 프롬프트 창 열기 " git bash here " 자신이 업로드할 디렉토리에서 우클릭 -> git bash here을 하면 cmd 창이 열린다. 5. git 저장소(.git) 생성. git init 6. git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추가. git remote add origin "자신의 깃허브 경로.git" cmd 창에서 복사 붙여넣기를 할때 ctrl+v 는 작동되지 않는다. 우클릭 -> paste 를 하면 붙여넣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