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JECT/급똥 (5)
JJUNNAK's
결과물 시연 기능설명 상세보기 를 누르면 1~9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의 모든 화장실 위치정보가 리스트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검색을 통해서 원하는 역, 노선별로 검색이 가능하다. 노선보기를 누르면 각 노선의 "게이트 내부에 화장실이 있는 역" 들을 시각적으로 쉽게 알아볼수 있다. 사용 기술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인탠트 화면전환 인트로 화면 리스트 뷰 Java [ 파이썬 ] BeautifulSoup Pandas 국토교통부 open api 후기 원래 캡스톤 프로젝트로 안드로이드 어플을 하기도 했었기에 어플을 구현하는것 자체는 순조롭게 진행이 되었다. 하지만 화장실 정보를 api 에서 가져오는 과정에서 요청변수로 "노선" 만 가지고 각 노선별로 모든 정보를 손쉽게 가져올..
[ 이전 글 ] https://jjunnak.tistory.com/16 이전 글에서 발견된 문제들을 고려해서 코드를 작성했다. 데이터 분할 import pandas as pd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from urllib.request import urlopen # [ 옵션 설정 ] print(" 원하는 노선을 선택하세요.") print(" [ 1~9 호선 : 1~9 ] , [ 경의중앙 : K4 ] , [ 분당선 : D1 ]") line = str(input("노선 : ")) # [ 변수 지정 ] result_list = [] # 출력할 결과물 리스트 oper = [] # 기관코드 st = [] # 역 코드 name = [] # 역 이름 # 담당기관이 2곳일 경우 대비 s..

[ 이전 글 ] https://jjunnak.tistory.com/15

[ 이전글 ] https://jjunnak.tistory.com/14 [ Project ] "급똥" _ 01. 프로젝트 기획 일전에 누나한테 캡스톤 프로젝트 해야하는데 뭐 아이디어 추천해줄만한 것이 있냐고 물었더니 " 지하철 화장실이 게이트 안에있는지 밖에있는지 알려주는 프로그램 " 을 만들어달라고 했다. jjunnak.tistory.com 전에 계획했던 작업순서가 변경 되었다. [ 작업 순서 ] 1. 지하철 화장실 데이터 수집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앱 뼈대 제작 3. 어플 세부기능 구현 4. 테스트 및 디버깅 기존에 1. 데이터 수집 이 원래 지하철 화장실 open api에서 크롤링한 정보를 바탕으로 엑셀에 저장시켜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api 키 발급까지 시간이 걸리게 되어서 먼저 앱을 Beta ..